JEONGMIN'S PHOTO & STORY
본문 바로가기
  • 지나가다 잠시 쉬어가는 공간...
728x90
728x90

전체 글185

article thumbnail 학폭 기록 정시 반영 세간의 화제를 모았던 '더 글로리 파트2'가 시작되기 얼마전 국가수사본부장 임명자의 아들이 학교폭력의 가해자였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결국 하루만에 사퇴하고 말았다. 또한 종영 후 얼마 지나지 않아 공교롭게도 정부와 여당은 학폭 가해기록의 학생부 보존 기간을 연장하기로 했다는 기사가 올라왔다. 수시전형 뿐만아니라 대학교 입시 정시전형에도 반영한다고 하다. 심지어는 취업시까지 보존할지에 대해 중장기적인 검토를 한다고 한다. 당정은 가해학생의 엄정조치, 피해학생 우선보호, 교사의 교육적 해결, 학교의 근본적 변화에 초점을 맞춰 학교폭력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박대출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초기 단계부터 피해 학생이 불안하지 않도록 가해자와 즉시 분리 조치를 실효적으로 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절실하다는데 인식.. 2023. 4. 5.
대학교수 명칭 TV 뉴스나 인터넷 기사를 보면 전문가의 인터뷰를 확인하게 되는 경우가 자주 있다. 이때 등장하는 전문가들 중에 대학교수들이 상당수이다. 그런데 소개되는 간단한 프로필에 교수의 명칭이 참 다양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대학에 무슨 교수의 종류가 이렇게나 많은가 싶다. 그래서 오늘은 여러 매체에 소개되는 대학교수들의 다양한 명칭들을 정리해 보기로 한다. 고등교육법에 따르면 교수는 '전임교원'과 '비(非)전임교원으로 나뉜다. ▣ 전임교원 전임교원이란 교육기관에서 전문적으로 교수활동과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교원을 말한다. 전임교원은 정년트랙과 비정년트랙으로 구분한다. ** 정년트랙 전임교원 : 조교수, 부교수, 정교수 순서로 승진이 가능하며 정년이 보장된다. ** 비정년트랙 전임교원 : 승진이 거의 불가능하거나,.. 2023. 3. 23.
article thumbnail 과유불급(過猶不及) ▣의미 과유불급(過 : 지나칠 과, 猶 : 오히려 유 / 같을 유, 不 :아니 불, 及 : 미칠 급) 논어(論語) 선진편(先進篇)의 공자와 자공의 대화에서 유래한 말로, 정도가 너무 지나친 것은 부족한 것과 같다라는 의미의 고사성어이다. ▣유래 공자(孔子)와 그의 제자 자공(子貢)과의 대화이다. "자장(子長)과 자하(子夏) 중 누가 더 현명합니까? "자장은 지나치고, 자하는 미치지 못하다(자하는 부족하다)." "그렇다면 자장이 더 나은 것입니까?" "지나친 것과 미치지 못한 것은 같은 것이다." 이 대화의 내용은 중용(中庸)과 일정부분 그 공통점을 찾아 볼 수 있다. 어떤 행동이나 태도에서 균형을 찾아야한다는 의미에서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고 볼수 있다. 하지만 약간은 서로 다른 의미도 가지고 있다. 過.. 2023. 3. 21.
article thumbnail 실내 마스크 착용 해제 혼잡 시간대 대중교통 이용자, 의심 증상자, 고위험군 등에는 마스크 착용 적극 권고 한·중 국제여객선 여객운송도 20일부터 순차 재개... "방역상황 안정적인 것으로 판단" 한창섭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2차장(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3월20일부터 버스, 전철 등 대중교통과 마트, 역사 등 대형시설 안의 개방형 약국에 대해서도 마스크 착용 의무를 해제한다"과 15일 밝혔다. 이날 코로나19 중대본 회의를 주재한 한 제2차장은 "지난 1월30일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를 조정한 이후 일 평균 확진자는 38%, 신규 위중증 환자는 55% 감소했고 신규 발생도 발생하지 않았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에 따라 대중교통과 대형시설 안 개방형 약국의 마스크 착용 의무는 해제하지만 일반 약국은 의심 증상자와 고위험.. 2023. 3. 20.
결초보은(結草報恩) ▣ 의미 결초보은(結 : 맺을 결, 묶을 결 草 : 풀 초 報 : 갚을 보 恩 : 은혜 은) 풀을 묶어 은혜에 보답한다는 의미로 죽어서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는다는 말이다. ▣ 유래 중국의 춘추 시대에 전하는 고사성어이다. 춘추시대 진나라의 대신이었던 위주는 젊은 후처를 얻었는데, 병이 들자 아들 위과에게 후처를 친정으로 돌려보내 개가 시키라고 유언했다가 병세가 중해져 정신이 오락가락해지자 말을 바꿔 후처를 순장시키라는 유언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 위과는 아버지의 상반된 유언 중에 무엇을 따를지 고민했는데, 차남 위기는 순장하자는 유언을 따르자고 했으나 결국 위과는 아버지가 정신이 온전했을 때 남긴 유언을 따르기로 하여 위주의 후처를 순장시키지 않고 친정으로 돌려보내 개가시켰다. 후에 위과는 전쟁터에 .. 2023. 3. 15.
article thumbnail 한진포구 일출 멀리 무겁게 내려앉은 가스층 때문에 일출을 못보는 줄 알았다. 너무 높으면 일출의 분위기가 나지 않을 것 같았는데 가스층 덕분에 붉은 빛의 해를 보게된 것 같다. 그래도, 코발트 블루의 파란 하늘빛을 못 본 것은 못내 아쉬움으로 남는다. 2022.06.24 - [즐거운 사진여행] - 인천대교 일출 인천대교 일출 카메라를 들고 셔터를 눌렀던 그동안의 시간들 중에서 이런 하늘을, 이런 순간을 본 적은 거의 없었던 것 같다. 오랜만에 일요일 새벽 일출을 보겠다는 생각으로 집을 나섰는데... 이런 하늘이 byeongun4785.com 2022.06.27 - [즐거운 사진여행] - 강화도 일출 강화도 일출 이른 시간 수평선 너머로 떠오르는 해는 아니지만 그래도 흔히 말하는 일출이라 부를 수 있는 순간을 맞으면 늘.. 2023. 3. 14.
article thumbnail 절치부심(切齒腐心) ▣ 의미 절치부심(切 : 끊을 절, 齒 : 이 치, 腐 : 썩을 부, 心 : 마음 심) 이를 갈고 마음을 썩인다는 뜻으로 몹시 분하여 마음이 쓰린 것을 의미한다. 복수에 대한 독기를 품은 아픔을 담고 있는 고사성어이다. ▣ 유래 의 '자객열전 - 형가' 편에서 유래한 말로 진나라와 연나라가 대립하던 시절을 배경으로 한다. 전국시대 위나라 사람 형가는 식견과 검술에 뛰어나 연나라 태자 '단'의 식객이 되어 그의 충신이자 조언자 역할을 하였다. 태자 단은 진나라의 인질로 있다가 겨우 도망쳐 돌아온 것이어서 진나라 왕에게 복수하고 싶어했다. 그러나 연나라의 세력에 비해 진나라의 세력은 매우 막강했다. 진나라가 점점 그 세력을 넓혀 연나라에 가까워 오자 태자 단은 마음이 조급해졌다. 그래서 형가에게 천하의 땅을.. 2023. 3. 14.
article thumbnail 와신상담(臥薪嘗膽) ▣ 의미 와신상담(臥 : 누울 와, 薪 : 섶 신, 嘗 : 맛볼 상, 膽 : 쓸개 담) 불편한 섶에 누워 자고 쓴 쓸개를 맛본다는 의미로, 원수를 갚으려 하거나 실패한 일을 다시 이루고자 굳은 결심을 하고 어려움을 참고 이겨낸다는 말이다. 말하자면, 자신의 몸을 괴롭히면서까지 원한을 잊지 않는 지독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극기의 모습이라고 볼 수도 있으나 너무 독한 모습이라 하여 부정적으로 보기도 한다. 약어로 '상담(嘗膽)'만 쓰는 경우도 간혹 있다. ▣ 유래 기원은 춘추전국시대 오월이 서로 대립하고 있을 때의 이야기가 전해진다. 오왕 합려는 월의 구천을 공격하다가 결국 구천에게 대패하고 전사했는데 아들 부차가 이를 원통해 했다. 부차는 매일 밤 가시가 많은 장작 위에 누워서 잠을 청했고 자기 방에 .. 2023. 3. 13.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