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ONGMIN'S PHOTO & STORY
본문 바로가기
  • 지나가다 잠시 쉬어가는 공간...
728x90
728x90

전체 글185

article thumbnail 되/돼 ◈ ' 되'     '되다'의 어간에 해당한다.  '되(어간) + 다(어미)' ◈ '돼''되어'의 줄임말(축약)의 형태이다.  '되(어간) +어(어미)'로 어미의 활용형인 '-어'가 붙고 이것이 줄어 '돼'로 쓰이고 있다. ◈ 그런데 어미의 활용형은 '-어'의 형태만 있는 것이 아니고 '-니', '-고' 등등이 있어 '되'를 쓰는 경우와 '돼'를 쓰는 경우를 좀더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 '되-'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뒤에 오면 축약의 형태로 쓰일 수 가 있다.** 되 + 어 = 돼, 되 + 었 + 다 = 됐다, 되 + 어서 = 돼서 ◈ '되-'에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오면 축약을 할 수 없어 그대로 쓰인다.** 되 + 고 = 되고, 되 + 니 = 되니    ☞우리말에 대한 깊이가 있는 전문.. 2022. 11. 29.
article thumbnail 왠지와 웬지의 구별 ◈ '왠' '왠'은 '웬'과 혼동하여 쓰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유를 나타내는 '왜인지', '왠지'의 경우에서만 쓰인다. 국어사전에도 비표준어로 명시되어 있다. ◈ '왠지' 품사는 부사이며, '왜 그런지 모르게' 또는 '뚜렷한 이유 없이'의 의미로 문장에서 쓰인다. ** 나는 왠지(왜 그런지 모르게) 불안한 기분이 들었다. ** 그녀는 왠지(뚜렷한 이유 없이) 나를 피하는 것 같았다. 위와 같은 예에서 '왠지' 대신에 '웬지'를 쓰는 것은 잘못된 표현이다. ◈ '웬' 품사는 관형사이며 의미는 다음과 같다. ① '어찌 된' ** 너는 웬(어찌 된) 걱정이 그렇게도 많니? ** 오늘따라 웬(어찌도) 잔소리가 저리 심한지... ② '어떠한' ** 웬(어떠한, 어떤) 놈이 속닥거리고 있는거야? ** 웬(어떠한, 어.. 2022. 11. 25.
article thumbnail 안/않 ◈ 안'아니'의 준말로 일반적으로 용언(동사, 형용사) 앞에 쓰이는 부사이며 부정 또는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는 말이다.** 안(아니) 먹다** 눈이 안(아니) 온다.** 그 녀석을 다시는 안(아니) 만나겠어. 「참고」 '아니'는 '안'의 본디 말로 부정이나 반대의 의미로 쓰이기도 하지만, 명사와 명사, 문장과 문장 사이에서 강조의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이 경우에는 준말처럼 '안'을 쓸 수 없다.** 30분 전만 해도, 아니 조금 전까지만 해도 옆에 있었는데 어느새 사라졌지?** 사랑하는 나의 가족은 천만금, 아니 억만금을 준다고 해도 절대 바꿀 수가 없어.** 나는 뛸 수가 없다. 아니, 걷는 것조차 할 수가 없다. ◈ 않어간 '아니하-'의 준말로, '아니하다'를 줄인 '않다'의 어간으로 쓰이며 앞의 .. 2022. 11. 22.
article thumbnail 어근 어간 어미 1. 어근(語根)의 뜻어근(말씀 어, 뿌리 근)은 말의 뿌리라는 의미로, 한 단어에서 더이상 나눌 수 없이 의미의 중심이 되는 단어형성 요소이다. 더 이상 분해하면 최소의 의미를 잃게 되는 언어단위이다. ** '깨끗하다'에서 '깨끗-' / '먹다'에서 '먹-' /  '아름답다'에서 '아름-' / '어른스럽다'에서 '어른-' / '덮개'에서 '덮-' ... 2. 어간(語幹)의 뜻어간(말씀 어, 줄기 간)은 말의 줄기라는 의미로, 용언(동사, 형용사), 서술격 조사 등 활용어의 활용에서 변하지 않는 줄기 부분을 의미한다. ** '깨끗하다' , '깨끗하고', '깨끗하여', '깨끗하니' 등에서 '깨끗하-' /  '보다', '보고', '보니' 등에서 '보-' / '먹다', '먹고', '먹으니' 등에서 '먹-' ... 2022. 11. 19.
article thumbnail 독립언-감탄사 1. 독립언(獨立言)독립언의 뜻 : 홀로 독, 설 립, 말씀 언. // 홀로 설 수 있는 말이라는 의미로 다음 사전에서는 문장에서 다른 단어와 직접적인 관계를 맺지 않고 홀로 기능하는 단어로 풀이하고 있으며 이에는 감탄사가 있다.독립언은 문장 속에서 독립적으로 가장 앞자리에 놓이는 기능상의 특징에 근거하여 그  형식적 의미에 치중해 감탄사라고도 한다. 이를 바탕으로 독립언의 특징은 감탄사의 특징으로 정리한다. 2. 감탄사(感歎詞)느낄 감, 탄식할 탄, 말씀 사. // 탄식하듯 강한 느낌을 나타내는 말로 풀이해 본다. 다음 사전에서눈 감탄이나 놀람, 부름, 명령 등 강한 느낌을 나타내는 말로 정리하고 있다. 3. 감탄사의 특징① 활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형태적으로 관형사, 부사와 같은 불변어인데 조사가 붙.. 2022. 11. 16.
article thumbnail 관계언-조사 1. 관계언(關係言) 관계언(關係言)의 뜻 : 關 빗장 관, 관계할 관, 통하게 할 관 / 係 이을 계, 관계될 계 / 言 말씀 언. 서로 통하게 관계되는 말. 문장에 쓰인 단어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능을 하는 조사를 이르는 말. 2. 조사(助詞) 조사(助詞)의 뜻 : 助 도울 조, 詞 말씀 사. 돕는 말, 도와 주는 말. 체언의 뒤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말과의 문법적인 관계를 나타내거나 특별한 의미를 더해 주는 품사. 3. 조사의 특징 (1) 홀로 자립하여 쓰일 수 없다. (2) 활용하지 않는다.(단, 서술격 조사 '-이다'는 예외) (3) 주로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에 결합되지만 부사, 용언(동사, 형용사), 다른 조사에도 결합된다. 4. 조사의 종류 (1) 격조사 : 체언이나 용언의 명사형 뒤.. 2022. 11. 15.
대환대출 플랫폼 더 낮은 금리로 갈아타는 '대환대출 플랫폼' 내년 5월 개시 금융위, 연내 온라인-원스톱 대환대출 시스템 구축 착수 [2022.11.14 금융위원회] 온라인으로 대출을 쉽게 비교하고 갈아 탈 수 있는 온라인-원스톱 대환대출 인프라가 이르면 내년 5월 구축된다. 금융위원회는 금융소비자가 손쉽게 더 낮은 금리의 대출로 이동할 수 있도록 대환대출의 활성화를 추진하기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금리상승기에 금융소비자의 이자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현재 대환대출 시장은 대출 신청자의 불편, 인프라 미비로 참여가 저조한 상황이다. 금융회사 간 온라인 시스템의 부재로 기존대출 상환을 오프라인으로 수행해 금융소비자의 금융회사의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 또 소비자가 .. 2022. 11. 15.
article thumbnail 수식언-부사 (2) 부사 ① 용언(동사, 형용사) 또는 다른 말(부사, 관형사, 명사, 대명사, 수사, 문장 전체) 앞에 놓여 그 뜻을 분명하게 하는 품사. *기차가 빨리 달린다.(동사 수식) *드레스가 너무 예쁘다.(형용사) *나는 아주 빨리 걸었다.(부사수식) *아빠가 정말 새 신발을 사 주셨다.(관형사 수식) *크리스마스가 바로 내일이다.(명사 수식) *내가 사랑하는 사람은 바로 너야.(대명사 수식) *오직 하나뿐인 그대!(수사 수식) *나는 빵을 좋아해. 하지만 내 동생은 빵을 싫어해. ② 활용하지 않는다. ③ 형태상으로 조사나 어미가 붙을 수 없다. 그러나 특별한 조사(보조사)가 붙기도 한다. *잘도 꾸며 대는구나. *너는 아직도 시간이 많이 남은 것으로 착각하고 있네. ***부사는 꾸밈을 받는 언어단위의 .. 2022. 11. 14.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