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
은유법(隱喩法)은 한자를 직역하면 숨기어 깨우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으나 풀이가 분명하지 못하므로 사전에서의 의미를 가져오면,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을 다른 대상에 비겨서 표현하는 수사법이라 하겠다. 직유법과는 대조적인 표현으로 은유(隱喩)를 암유(暗喩)라고도 한다.
은유법은 'A는 B이다'와 같은 형태로, 직유법과는 달리 연결어 없이 A라는 대상을 B라는 다른 대상으로 표현하는 기법이다. 대표적인 예를 들면 김동명 시인의 "내 마음은'이라는 시에 '내 마음은 호수요.'가 있다. [ 내 마음(A -원관념)은 호수(B - 보조관념)요 / 내 마음(원관념)은 촛불(보조관념)이요 / 내 마음(원관념)은 나그네(보조관념)요 / 내 마음(원관념)은 낙엽(보조관념)요 ]에서 나의 마음을 호수에 견주며 현재 나의 마음이 호수의 잔잔하고 평화로운 분위기와 동일하다고 표현한 것이다. 이처럼 일반 독자가 조금 더 쉽게 감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표현하는 방법이 은유법이라고 할 수 있겠다.
▣특징
1. 비교의 생략 : 은유법은 직유법과 달리 '같다', ~처럼, ~인 양'과 같은 연결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2. 상징성 : 은유는 상징적인 의미를 가져 특정한 느낌이나 이미지를 떠올리게 한다.
3. 감정적 효과 : 은유는 감정을 자극하고, 독자가 특정한 느낌이나 이미지를 떠올리게 한다.
▣예시
1. '구름은 보랏빛 색지 위에 / 마구 칠한 한 다발 장미' (김광균의 '뎃상') - 구름=원관념, 장미=보조관념
2. '수필은 청자연적이다. / 수필은 난(蘭)이요, 학(鶴)이요, 청초하고 몸맵시 날렵한 여인이다' (피천득의 '수필') - 수필=원관념, 청자연적·난·학·청초하고 몸맵시 날렵한 여인 = 보조관념
3. '인생은 한 편의 영화이다' - 인생=원관념, 영화=보조관념
4. '시간은 금이다' - 시간=원관념, 금=보조관념
▣정리
은유적 표현은 지금까지의 고정관념을 헐어버리고 새로운 기능을 부여해주는 중요한 구실을 담당하기도 한다. 기교적인 긴축미와 참신성·생동감을 불어넣어 주는 구실을 담당하기도 하여 우리의 언어생활을 풍요롭게 한다. 이러한 은유적 표현을 일상의 화법에도 적용하면 훨씬 부드러워 직설적인 화법으로 인한 감정적 충돌을 피할 수 있겠다.
<참고 출처 =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알쏭달쏭 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유법(直喩法) (5) | 2024.10.14 |
---|---|
수사법(修辭法) (3) | 2024.10.12 |
사이시옷 (1) | 2023.08.23 |
국어 문장 성분의 종류 (0) | 2023.05.11 |
짧은 부정문과 긴 부정문 (4) | 2023.03.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