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사부재의 원칙과 일사부재리 원칙
본문 바로가기
  • 지나가다 잠시 쉬어가는 공간...
이런저런 이야기들

일사부재의 원칙과 일사부재리 원칙

by 정민4785 2025. 4. 5.
728x90
728x90

일사부재의, 일사부재리

 

일사부재의 원칙과 일사부재리 원칙의 공통점과 차이점

 

1. 개념과 정의

항목 일사부재의 원칙 일사부재리 원칙
한자 一事不再議 一事不再理
의미 하나의 의안은 같은 회기 이상 심의할 없음 동일 범죄사실에 대해 확정 판결이 내려지면 다시 재판할 없음
적용 분야 입법 (국회) 사법 (형사소송)
법적 근거 국회법 92 헌법 13 1, 형사소송법 325

 

2. 공통점

• “같은 사안을 반복하지 않는다 원칙
 
국회와 사법기관 모두에서 절차의 안정성과 신뢰성 확보

권리 보호와 남용 방지
 
국회: 입법 절차의 효율성 / 사법: 피고인의 권리 보호

3. 차이점 판례

일사부재리 원칙 (형사)

목적: 피고인의 기본권 보장, 이중처벌 방지
조건: 동일한 범죄사실 + 확정 판결
대표 판례:
 
대법원 1993.3.23. 선고 923082
   
절도죄 무죄 확정 같은 사실로 다시 기소한 것은 일사부재리 원칙 위반
 
대법원 2002.12.10. 선고 20024838
   
이미 폭행으로 벌금형 확정같은 행위로 상해죄로 다시 기소는 위법

일사부재의 원칙 (국회)

목적: 회기 의안의 반복 심의 방지, 효율적 운영
조건: 같은 회기 , 동일한 내용의 의안
적용 사례:
 
국회 본회의에서 부결된 법안이 같은 회기 다시 발의되었으나 국회법 92조에 따라 반려됨.

 

4. 요약 및 비교

항목 일사부재리 원칙 일사부재의 원칙
적용 분야 형사 재판 국회 입법 절차
주체 법원, 검찰 국회의원, 국회
목적 피고인의 인권 보호 국회 회의 효율성 유지
반복 금지 대상 동일 범죄 사실의 재판 동일 의안의 반복 심의
적용 요건 확정 판결 동일 범죄 사실 동일 회기, 동일 의안
판례 923082, 20024838 국회법 적용사례 중심

 

5. 정리

일사부재의와 일사부재리는 모두 공정성과 절차적 안정성을 지향하는 원칙입니다. 그러나 적용 영역, 목적, 법적 효과는 명확히 구분되며, 각각 국회 운영의 질서와 사법 절차의 인권 보장이라는 헌법적 가치를 실현하는 기여하고 있습니다.

728x90

댓글